티스토리 뷰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과 필요서류


안녕하세요. 우리가 살면서 집을 옮기는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죠. 가족 다 같이 이사를 가게 되거나 부모님의 집에서 독립을 해서 혼자 살게 되거나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이렇게 집을 옮기게 되면 꼭 해야 되는 것이 있는데요. 바로 전입신고를 하는 것입니다. 전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되는 문제도 있지만 보증금을 보호하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러니 전입신고 미루지 말고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꼭 하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과 필요서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보통 전입신고는 동사무소에 직접 방문을 해서 해야된다고 많이들 알고 계실텐데요. 이제는 인터넷으로 전입신고가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다만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할 때에는 대리인이 신청이 불가능하다는 점 참고하셔야 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텐데요. 전입신고를 할 때에 드는 수수료는 없으며 즉시 처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동사무소에 직접 방문해서 전입신고를 할 시에는 주민등록증을 지참하셔야 되며 행정정보공동이용에 동의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민원인이 인반건축물대장과 자동차등록원부(갑)와 가족관계등록부를 제출해야 된다고 하니 행정정보공동이용에 동의를 하면 더욱 편하고 빠르게 전입신고가 가능할 것입니다.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우선은 인터넷에 정부24를 검색하셔서 사이트에 들어가 줍니다. 그 후에 검색창에 전입신고를 검색해 주는데요. 정부 24에는 여러 서비스가 있으니 전입신고 외에도 필요하신 서비스가 있으시면 검색해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전입신고를 검색해 주시면 전입신고 신청하는 것이 뜨는데요. 그것을 클릭해 주시면 민원안내 및 신청이라는 창이 뜹니다. 그럼 거기서 신청하기를 눌러주시면 인터넷 전입신고 하는 것이 시작이 됩니다.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1단계는 우선 신청인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인데요. 자신의 이름과 연락처를 적어준 후에 전입하는 이유를 선택해 줍니다. 전입하는 이유에는 직업과 가족, 주택, 교육, 주거환경, 자연환경, 기타 이렇게 있는데요. 자신의 이유와 맞는 것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전입하는 이유를 선택하셨다면 다음단계를 눌러 줍니다.


전입신고 2단계는 전에 살던 곳 및 이사가는 사람을 입력해주어야 되는데요. 자신이 이사 오기전에 살던 곳의 주소를 조회를 해주시고 이사가는 사람을 선택해줍니다. 혼자만 이사를 한다면 자신만 체크해 주면 되겠죠. 그렇게 체크를 하고나면 세대주 확인 SMS통지를 위해서 전에 살던 곳의 세대주의 연락처를 입력해야 됩니다. 이때 세대주 확인은 신청인이 세대주가 아닐 경우에 입력을 하는 것입니다.

세대주의 연락처까지 입력을 하고 나면 마지막 3단계로 넘어가는데요.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의 마지막은 새로 이사 온 곳 및 기타 정보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이사온 곳의 주소를 적어준 후 빈집으로 이사를 하였는지 아니면 이사온 곳에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 경우인지 자신이 속하는 쪽에 체크를 해주세요. 그 후에 기존에 살고 있던 세대주 정보를 입력해 주어야 하는데요. 이는 신청인과 전입지 세대주가 다른 경우에 전입지세대주확인용 SMS문자메세지 발송을 위해서 입력을 해주어야 됩니다. 다음에 또 자신이 해당되는것을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위에 단계까지 하셨다면 다음으로는 이사온 사람과 기존 세대주의 관계를 선택해 주어야 됩니다. 예를들어 한 부모가 자녀들과 남편의 아버지의 집으로 전입하는 경우에 세대주인 남편의 아버지와 남편의 관계는 자녀, 자녀들은 기타입력 손주로 선택을 해주어야 됩니다. 그리고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를 원하실 경우 신청합니다에 체크를 해주시면 3개월간 이사 가는 곳으로 우편물을 받을 수 있다고 하며 초등학교 배정을 신청하면 주민센터에서 주소지를 기준으로 초등학교 배정이 진행이 된다고 합니다. 이 두가지는 선택사항이니 필요경우에 따라 체크를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나서 민원신청하기를 눌러주면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신청이 완료가 됩니다.


이렇게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과 필요서류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제는 번거롭게 동사무소에 가지 않고 집에서 편하게 전입신고를 해도 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