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보건증 인터넷 발급
보건증이란
보건증 인터넷 발급
이렇게 본인이 직접 발급을 하거나 대리인이 발급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았는데요. 지금부터는 보건증 인터넷 발급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보건소에 방문을 해서 검사를 받고 결과가 나왔다면 공공보건포털이라는 사이트에 접속을 해줍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위해 사이트에 접속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그러면 왼쪽 상단에 보면 온라인 민원서비스 목록이 있습니다. 거기에서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위해서는 제증명발급을 클릭해줍니다.
제증명발급을 클릭해 주시면 제증명발급에 관해서 설명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보건증 인터넷 발급 외에도 건강진단서(국문, 영문)와 채용신체 검사서와 예방접종증명서(국문), 예방접종증명서(영문), 진료비 납입 증명서 총 7가지를 발급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받기전에 유의사항입니다. 공공보건포털에서는 공공보건의료기관인 보건소나 의료원 등의 내역만 조회가 가능하다는 점과 공유프린터를 이용해서 출력할 때에 개인정보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는 점을 안내해 주며 제증명 조회 및 발급을 위해서는 공인인증서나 아이핀, 디지털원패스 또는 휴대폰을 이용해서 본인인증을 해야 발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제 발급전 유의사항을 읽고 나면 보건증 발급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 안내에 대해서 나오는데요. 한 번 쭉 읽어보시고 밑으로 내려가시기 바랍니다. 읽고 나면 오른쪽 하단에 확인에 체크를 해주셔야 됩니다.
개인정보 수집 안내를 읽고 나면 개인정보 수집동의에 대하여 나오는데요. 여기에서 동의 거부를 할 경우에는 보건증 인터넷 발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고하니 동의를 눌러 주셔야겠죠.
이제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했다면 자신의 이름과 주민번호를 적고 본인확인을 위한 방법을 선택해 주시면 되는데요. 공인인증서와 아이핀, 디지털원패스와 핸드폰 총 4가지로 본인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때 본인 확인을 위해서 자신이 적은 이름과 본인확인에 공인인증서나 휴대폰 명의자의 정보가 동일인이어야 보건증 인터넷 발급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본인 확인까지 마치고 나면 자신이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을 선택하여 발급을 해주시면 끝이납니다. 이렇게 어렵지 않게 집에서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겠습니다.
지금까지 보건증 인터넷 발급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위에 설명드렸듯이 온라인 민원서비스를 통해서 제증명 발급 신청으로 넘어갈 수도 있지만 사이트 첫화면 밑으로 보시면 다음과 같이 증명서 발급과 검사결과 조회가 있을 겁니다. 여기서 그냥 바로 왼쪽편에 건강진단결과서 (구, 보건증)을 눌러서 발급받는 곳으로 들어가셔도 됩니다.
이제 보건소 두번 방문하지 마시고 한번 방문을 하고 편하게 집에서 보건증 발급을 받아 보는 것은 어떨까요.